글로벌셀러, 무역마스터가 되자 - 1
경기도여성능력개발센터 꿈날개의 온라인 강의 '글로벌 비즈니스 전문가, 무역마스터가 되자'를 수강하게 되었다. 글로벌셀러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지만 무역에 대한 지식이나 경험이 전무하기에 이번 강의를 통해 무역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실무 전략을 학습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꿈날개 온라인취업지원서비스 www.dream.go.kr
1차시. 무역마케팅이란
- 수출하고자 하는 제품의 가격 = 수출 경쟁력
- ▽ 소기업은 대형시장 진입이 어려움. 또한 제품의 가격을 낮추기 어려움.
=> 여성기업은 시장 규모가 작은 틈새시장 성격
- 자기만의 제품에 맞는 바이어를 만나야 함
- 수출을 해야하는 이유
1. 시장 규모가 작은 틈새시장의 성격상 한국 시장으로 국한한다면 발전 가능성이 거의 없음.
2. 한국의 틈새시장이 10이라면 일본, 유럽, 미국의 틈새시장으로만 넓혀도 한국의 수십 배가 되는 시시장이 됨.
3. '한국'이라는 시장은 매우 어렵다. 한국에서 살아남았다면 해외에서도 성공할 수 있는 제품.
- 그러므로 제품의 문제가 아니라, 전략의 문제
: 여성 기업의 제품은 대부분 크고 무겁고 큰 금액의 제품이기보다는 작고 가볍고 소액의 제품. 생산 시설이나 유통 체계와 같은 하드웨어적이기 보다는 디자인, 향기, 감촉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성격이 강함.
=> 여성 기업에 맞는 수출 전략이 더욱 중요함. 세계의 틈새시장에 여성 기업 제품으로 수출해야 함.
- 무역에서의 영업 활동: 바이어들을 어떻게 찾아서 영업으로 연결을 짓느냐. 마음을 팔아야 함. <모든 판매의 기본>
- 무역 회사로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를 사로잡는 새로운 기술이나 아이디어 +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무역마케팅
- 수출 마케팅: 본인이 직접적으로 해외 현지에서 활동하거나, 해외 마케팅 조직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수주 활동을 전개하는 과정. 청약이나 주문에 대한 상대방의 승낙을 얻어 수출 계약을 확정할 때까지의 제반 활동
- 여성 기업이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추진한 해외 마케팅 수단: 정부의 수출지원기관 활용, 시장 개척단 참가, 해외 전시회 참가, 제품 카탈로그 및 샘플 발송, 인터넷 마케팅 활용